학습법/고등학교단

[스크랩] [자료] 이론 제 4강 쌍대, 다수 결합 자료

아주가끔씩 2009. 10. 6. 12:08

 

세계최강! 한글VOCA

이론 제 4강

[기초훈련 : 쌍대결합과 다수결합]

- 누구나 천재 !

17대 1도 두렵지 않다 !

1. 결합이란 무엇인가?

2. 결합의 원칙과 기법

3. 결합의 두 가지 형태

4. 쌍대결합에 대하여

5. 다수결합에 대하여

6. 어떻게 결합의 고수가 되는가.

 

1. 결합이란 무엇인가?

1.1. 결합이란?

1.1.1. 심리학에서의 연합(association)

▶ 정보들 간의 연상관계(를 만드는 작업)

▶ 가장 넓은 의미 : 연합 ⊃ 결합. 연합 ⊃ 암기

1.1.2. 한글보카의 결합

▶ 기본 의미 : 단어 정보의 의미를 서로 이어 짧은 글을 만들고(연결, 문장화) 그 의미에 맞는 그림을 마음속으로 그려보는(합성, 영상화) 작업. 결합 = 연결(문장화) + 합성(영상화)

▶ 자세한 의미 : 위의 결합에 감각(심상), 감정, 행동 등 모든 사고기호를 더하여 의미를 함축시키는 작업.

 

1.2. 결합의 두 가지 효과

1.2.1. 기억효과 [제 3강]

▶ 인지심리학적 설명 - 특유성(기존지식의 재구성)

▶ 뇌과학적 설명 - 가소성 : STM(summation) ⇨ LTM(LTP)

1.2.2. 창의적 발상효과

▶ 상상과 심상의 초보적 훈련

▶ 창의적 사고 기법 중 하나인 강제결합법과 똑같음.

<참고>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결합훈련과 한글 구구단

 

1.3. 결합에서의 개인차는? (특유성과 가소성 극대화 방법)

1.3.1. 서번트들의 연합능력 - 선천적 사진(직관) 기억, 공감각적 기억

▶ S. V. Shereshevskii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 - Luria)

▶ Kim Peek (Rain Man의 캐릭터 모델)

▶ Daniel Tammet (서번트 연구의 로제타 스톤)

1.3.2. 기억전문가의 결합능력 - 후천적인 훈련(변환, 결합, 기반)

▶ 한 번 결합해서 이틀 정도 잊지 않으면 OK (Eran Katz)

▶ 훈련을 통해 향상 가능 (S.의 발음변환 능력은 보통 수준)

 

1.4. 결합과 5종 사고

1.4.1. 하위 4종 사고 - 논리언어, 논리심상, 상상언어, 상상심상

1.4.2. 상위 메타사고 - 4종사고의 지휘관, 자기 반성하는 전략가

1.4.3. 영어단어의 결합에서는 상상심상이 중요하지만 문장, 문절의 학교학습에서는 논리언어가 더 중요해진다.

 

2. 결합의 원칙과 기법[제 8강 ~ 제 12강]

2.1. 결합의 원칙 - 신속(창의적 결합), 강력(함축적 결합)

2.1.1. 신속 - 창의적 결합

2.1.2. 강력 - 함축적 결합

2.1.3. 두 원칙간의 관계 - 긴장관계

 

2.2. 결합의 기법 개관

2.2.1. 신속 (창의적 결합)

▶ 논리적 - 인과법(전제 - 결론, 논거 - 주장, 배경 - 사건)

                  연관법(접근, 유사, 대조, 상징)

▶ 상상적 - 과장법, 반전(역전)법, 의인(활유)법, 특이법

    * 스위칭, flexibility, fluency가 중요 / 변환도 동일 원칙 적용.

2.2.2. 강력 (함축적 결합)

▶ 구체적 - 상황설정(배경조성), 자기관련법, 대화법,

                 특화, 친화, 4가지 합성법

▶ 감각적 - 심상, 시, 청, 후, 미, 촉, 운동감각, 공감각법.

▶ 감정적 - 긍정(희극, 신화), 부정(비극, 악마), 관능법, 동화(변신, 이입) 등...

▶ 행동적 - 실제 행동 처리 / 자기교수법(강의, 연극)

 

3. 결합의 두 가지 형태

3.1. 쌍대결합 - 한 단어 쌍(a pair) 즉 두 개 단어정보 간의 결합

3.2. 다수결합 - 3개 이상 단어정보 간의 결합

 

4. 쌍대결합에 대하여

4.1. 제 1정보 간의 쌍대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4.1.1. 제 1정보의 결합 실습

▶ 다음의 단어 쌍을 지시하는 대로 마음속 그림을 그리시오. 

단어 쌍

지시하는 대로 마음속으로 그림을 그려 보세요.

1) 개구리 : 볼펜

개구리 옆에 볼펜이 있다.

2) 카메라 : 장고

카메라 옆에 장고가 있다.

3) 바나나 : 여객선

여객선 위에 바나나가 쌓여있다.

4) 담임쌤 : 사자

담임선생님이 사자의 목덜미를 물고 있다.

5) 콜라병 : 안경

콜라병이 안경에 박혀있다.

6) 축구공 : 염소

축구공에 염소의 뿔이 박혀있다.

7) 오렌지 : 태양

하늘 위에서 오렌지가 태양처럼 빛나고 있다.

8) 강물 : 꽃잎

꽃잎이 강물처럼 흐르고 있다.

 

▶ 다음의 단어 쌍에서 ( ) 안에 들어 갈 단어는?

 

축구공 : ( )

( ) : 안경

( ) : 사자

카메라 : ( )

개구리 : ( )

( ) : 태양

( ) : 꽃잎

바나나 : ( )

 

▶ (1,2) (3, 4), (5,6) (7,8) 4가지 단어 쌍의 차이는?

- 각 형상들의 공간적 상호작용 정도

▶ 실제 회상 효과는?

- (5,6) > (3, 4) > (7,8) > (1,2) - 단어 쌍 많으면 차이 분명해 짐.

 

4.2. 4가지 합성법이란?

4.2.1. 분류 기준 - 공간적인 상호작용의 정도

4.2.2. 4가지(8가지) 합성법 ex) 오리쌤과 책

▶ 격합, 접합, 병합(입합), 융합

▶ 논리적 VS 상상적

4.2.3. 각각의 특징

▶ 기억효과 - 결합력은 병합 > 접합 > 융합 > 격합

▶ 창의적 발상 효과 - 접합과 융합 > 병합 > 격합

 

4.3. 제 2정보 간의 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4.3.1. 제 2정보의 결합 방법

▶ 형상화(영상화)한 후 결합

▶ 고정적인 형상이 없는 제 2정보의 형상화 방법 - 장면(풍부함), 사물, 상징(간명함)으로 형상화(이해 촉진) - 양면형상(이해와 기억 촉진)  

 

4.3.2. 간단한 실습

단어 쌍

아래 지시대로 그림을 그려 보세요.

1) 희망 : 늘씬하다

희망(이 뭐냐?) 늘씬해(지는 것입니다)

2) 분석 : 기쁘다

(신종 플루를) 분석하고 기뻐하다

3) 걷다 : 행동하다

걸으면서 (이런 저런) 행동하다

4) 달리다 : 움직이다

달리는 (것은) 움직이는 (것이다)

5) 형태 : 빛나다

형의 형태가 빛나다

6) 연역 : 아름답다

연의 꼬리들(연역)이 아름답다

7) 튀다 : 생활하다

튀긴 새우가 튀어 올라 쌩 까면서 생활하다.

8) 뛰다 : 활동하다

머리띠가 뛰고 있는 옆에서 활통이 활동한다

 

4.4. 제 2 정보의 특징과 효과적 처리방법

4.4.1. 다음 ( )를 채워 보세요.

( ) : 생활하다

형태 : ( )

( ) : 기쁘다

달리다 : ( )

걷다 : ( )

희망 : ( )

( ) : 아름답다

뛰다 : ( )

4.4.2. 위의 예에서 (1, 2, 3, 4) VS (5, 6) VS (7,8)의 차이는?

4.4.3. 2정보의 특징은?

▶ 고정된 구체적 형상이 없고 수많은 장면, 사물로 형상화

▶ 재생(회상 recall)시에 혼동되기 쉬움.

4.4.4. 효과적 처리방법은? [제 14강]

▶ 양면형상을 이용하여 양면을 매개(변환결합)함. 

 

5. 다수결합에 대하여

5.1. 다수결합

5.1.1. 학습(훈련) 필요성

▶ 실제 학습상황에서는 대부분 다수의 정보를 처리해야 함.

5.1.2. 두문자법(first letter method)은?   

▶ 처리할 때 정보의 원래 의미를 되새기는가. X

▶ 많은 정보를 모두 다 특유하게 처리할 수 있는가. X

∴ 제한적으로 유용 = 잘 알고 있는 정보 + 소수 + 변환

 

5.2. 다수결합의 3가지 기본형

5.2.1. 연쇄결합 - 줄줄이 소세지

5.2.2. 모둠결합 - 모둠회, 비빔밥

5.2.3. 기반결합 - 한정식, 코스요리

 

5.3. 각 다수결합 방식의 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논리적 연결 즉 언어를 논리적으로 사용하여 본래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억을 촉진하는 작업은 모둠, 기반결합에도 필수적임.)

연쇄

결합

모둠

결합

기반결합

즉석기반

고정

기반

관련

기반

임의

기반

물컵, 횃불, 강아지, 양동이, 선인장, TV, 고추장, 나비, 역기, 무당벌레

소수림왕 : 전진과 통교,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 설립

capital : 수도, 자본, 대문자, 주요한(우수한), 치명적인

 

5.4. 3가지 결합방식의 특성(비교)

방식

특성 (적절한 정보의 양, 결합과 재생에서의 장단점)

연쇄 결합

사슬형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그림)를 만들어야 하므로

중간에 한 사슬이 끊어지면 뒤의 것을 모두 잃어버릴 염려가 있음.

많은 정보를 사슬 결합하면 나중에 검색, 회상에도 시간이 더 걸림.

그러므로 아주 적은 양(3개 내외)의 정보 처리에 적합함.

군집 결합

(모둠결합)

전체적으로 서로 어우러지는 그림(모둠)을 만들어 내야 하므로

약간 더 생각을 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지면(보통 10개 이상이면) 서로 어우러지는 그림을 그리기가 어려움. 그러나

5개 내외의 정보는 비교적 쉽게 모둠결합되고

연쇄결합에 비해 중간에 정보가 소실될 위험이 적고, 검색(회상 recall) 속도도 빠르며

표현, 전달에 가장 효과적이므로

한글보카에서는 다의어 처리에 모둠결합을 많이 씀.

기반 결합

학습시에 기반을 만들거나 (즉석기반) 또는 학습 전에 미리 기반을 만들어 놓아야 하므로 (고정기반)

기반을 만들어야 하는 부담이 있음. 그러나

일단 기반을 잘 만들어 익혀 놓으면 가장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음. (즉 중간에 사슬이 끊어지는 것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불필요하게 많은 생각을 할 필요도 없음.)

공간적 위치에 따라 순서적, 순번적으로 결합되므로 순번적, 공간적, 체계적 검색(회상 recall)이 용이함.

그러므로 학습효과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상황에서 필요한 기반을 잘 만들 줄 알아야 하고(즉석기반) 구성이 좋고 용량이 큰 기반을 미리 만들어 놓아야 함.(고정기반 - 슈퍼기반)

 

 

 

5.5. 다수결합에 강해지는 비결

▶ 모둠결합과 관련기반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

▶ 슈퍼급의 고정기반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

    - 멘탈노트로 가는 지름길

 

6. 어떻게 결합의 고수가 되는가.

6.1. 관찰과 훈련

▶ 관찰 - 특히 심상과 상상의 관찰

▶ 훈련 - 훈련을 위한 훈련보다 학습을 통한 훈련

6.2. 정형화, 정교화, 자동화로 고수가 된다.

 

7. 제 4강의 정리

1. 결합이란 무엇인가?

1.1. 결합이란?

1.2. 결합의 두 가지 효과

1.3. 결합에서의 개인차는?

1.4. 인지심리학과 뇌과학적 설명

1.5. 결합과 5종 사고

2. 결합의 원칙과 기법

2.1. 결합의 원칙 - 신속(창의적 결합), 강력(함축적 결합)

2.2. 결합의 기법 - 논리, 상상적 / 구체적, 감각적, 감정적, 행동적

3. 결합의 두 가지 형태

3.1. 쌍대결합

3.2. 다수결합

4. 쌍대결합에 대하여

4.1. 제 1정보 간의 쌍대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4.2. 4가지 합성법이란?

4.3. 제 2정보 간의 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4.4. 2정보의 특징과 효과적 처리방법

5. 다수결합에 대하여

5.1. 다수결합

5.2. 다수결합의 3가지 기본형

5.3. 각 다수결합 방식의 결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간단한 실습

5.4. 3가지 결합방식의 특성(비교)

5.5. 다수결합에 강해지는 비결

6. 어떻게 결합의 고수가 되는가.

출처 : 오리쌤의 세계최강! 한글VOCA 훈련소
글쓴이 : 어휘지존 오리쌤 원글보기
메모 :